UEFA 재정적 페어플레이 규정

유럽 각 구단은 지출이 수익보다 많아서는 안 된다는 규정

 

지난 215, 맨체스터 시티(맨시티)FFP(Financial Fair Play, 재정적 페어 플레이) 규정 위반으로 인하여 유럽 축구를 보는 축구팬들 사이에서는 화제가 된 바가 있다. 때문에 조금 늦은 감이 있지만, FFP(Financial Fair Play, 재정적 페어 플레이) 규정에 대해 살펴볼까 한다.


FFP(Financial Fair Play) 규정이란?

  한국에는 대한축구협회(KFA)가 있고, 아시아에는 아시아축구연맹(AFC)이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유럽에는 유럽축구연맹(UEFA)가 있다. 유럽의 대다수의 클럽들이 유럽축구연맹(UEFA) 산하에 속해있다. 바로 FFP(Financial Fair Play) , 재정적 페어 플레이 규정은 이 유럽축구연맹(UEFA)에서 정한 규정이다.

핵심 내용은 각 구단과 클럽은 지출이 수입보다 많아서는 안된다는 규정이다. 여기서 구단주 개인의 소유재산은 구단의 수입에 포함되지 않는다. 이는 구단주의 사적인 자금을 제한해 구단의 부실 경영을 막겠다는 UEFA의 정책이다.


FFP(Financial Fair Play, 재정적 페어 플레이) 규정의 제정

유럽축구연맹(UEFA)에서는 201161일부터 FFP(Financial Fair Play, 재정적 페어 플레이) 규정을 제정하고 시행하게 된다. 이는 첼시의 로만 아브라모비치 혹은 맨시티의 만수르와 같은 부자 구단주, 소위 말하는 슈가대디의 출현이 영향을 미쳤다.

'슈가대디'의 대표적인 인물들 왼쪽부터 첼시의 로만 아브라모비치, 맨체스터 시티의 셰이크 만수르 빈 자예드 알 나얀 
슈가대디의 대표적인 인물 PSG(파리생제르맹)의 나세르 알 켈라이피(Nasser Al Khelaifi) 구단주

슈가대디들의 막대한 자금 투입으로 인해 많은 유럽 팀들이 과도하게 돈을 쏟아 붓는 현상이 일어났고, UEFA의 조사가 들어간 2009년쯤에는 유럽 각국의 최상위 리그 팀들이 약 12억 유로에 달하는 적자를 기록하게 되었다.

 2009UEFA가 조사한 바에 따르면, UEFA 산하 655개 유럽 클럽 가운데 절반 이상이 전년도에 비해 적자를 기록한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이 가운데 20%는 재정적 위험에 처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로 인해 UEFA에서는 FFP(Financial Fair Play, 재정적 페어 플레이) 규정의 필요성을 느끼게 되었고, 2010년 발의되어 통과되었고, 유럽 클럽 협회(European Club Association, ECA)에서 승인함으로 인해 201161일부터 시행되게 된 것이다.

 FFP(Financial Fair Play, 재정적 페어 플레이) 규정의 제정으로 인해, 유럽 클럽들과 구단들의 격차를 조금 줄일 수 있으며, 공평한 출발선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UEFA는 산하 660여개의 구단들의 경영이 좀 더 원활히, 건전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만들어주는데 의의가 있다.


FFP(Financial Fair Play, 재정적 페어 플레이) 규정 위반 시 제재 조치

FFP(Financial Fair Play, 재정적 페어 플레이) 규정을 어길 시, 다음과 같이 총 4단계의 제재 조치가 가해지게 된다.

1차 조치 : 유럽대회 통한 상금 회수
2차 조치 : 중계권 수익 회수
3차 조치 : 영입선수 출전금지
4차 조치 : 유럽대항전 출전금지

FFP(Financial Fair Play, 재정적 페어 플레이) 규정의 문제점

위에서 언급했듯이, FFP(Financial Fair Play, 재정적 페어 플레이) 규정은 각 구단이나 클럽이 수입만큼 지출을 해야한다는 것이 주요 내용이다. 이 규정으로부터 자유롭기 위해서는 구단주의 사유 재산이 아닌, 중계권료나 입장료, 스폰서등을 통해 벌어들이는 돈이 많아야 하는데, 그런 클럽들은 맨체스터 유나이티드(맨유)나 레알 마드리드, 바르셀로나 FC와 같은 최상위권의 클럽들 뿐이기에, 중하위권 클럽들은 오히려 FFP(Financial Fair Play, 재정적 페어 플레이) 규정이 족쇄처럼 작용하는 부분이 있다.

AS 로마와 인터밀란 같은 경우는 FFP( 재정적 페어 플레이) 규정을 지키기 위해 안간힘을 써왔다.


맨체스터 시티(맨시티)FFP(재정적 페어 플레이) 규정 위반

  UEFA 산하의 수많은 클럽들이 이 FFP(Financial Fair Play, 재정적 페어 플레이) 규정을 지키기 위해 수없이 노력중이다. 그런데, 2018년 말부터 맨체스터 시티(맨시티)FFP(Financial Fair Play, 재정적 페어 플레이) 규정을 위반했다는 이야기가 풋볼리크스로부터 나오기 시작했다.

맨시티의 FFP 규정 위반 사항을 보도한 풋볼리크스

위반 내용은 맨체스터 시티(맨시티)가 만수르 왕가 소유의 회사인 아부다비 유나이티드 그룹의 자본을 스폰서 돈으로 우회시켜 구단 금액에 사용했다는 것이다. 때문에 UEFA에서는 맨시티에게 2021-2022시즌까지 UEFA 주관 클럽대항전 출전 금지와 함께 벌금 3000만 유로(385억 원)에 대항하는 징계를 내리게 되었다.

맨체스터 시티(맨시티)는 그동안 이적시장에서 활발히 움직여 15/16시즌, 17/18시즌, 18/19시즌에서 우승하며 EPL 최고 강팀으로 거듭나게 되었다. 하지만, 바로 이 기간 2012년부터 2016년 사이에 UEFA에게 제출한 서류에서 맨체스터 시티(맨시티)가 분식회계(粉飾會計) , 수익을 지나치게 불렸다는 것이 확인되었고, 그 과정에서 맨체스터 시티(맨시티)의 구단주 만수르의 개인 재산이 스폰서쉽으로 전환되었다는 점이 문제가 된 것이다.

FFP 규정 위반으로 영입된 선수 망갈라

많은 축구팬들이 알다시피 맨체스터 시티(맨시티)와 같은 구단은 그 역사가 오래되지 않았기 때문에 명성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성적이 뒷받침 되어야 한다. 지금은 맨체스터 시티(맨시티) 측에서 CAS(스포츠중재위원회)에 항소를 요청한 상황이고, 코로나 19사태로 인해 유럽축구가 중단된 상황이어서 이 징계 역시 아직 효력이 발생하지 않고 있다.

 

하지만, 만일 이 징계가 확실시 된다면, 2년간 UEFA 주관 클럽대항전 출전 금지, UEFA 챔피언스리그에 출전이 금지 되는 것이고, 이에 따른 선수들의 동요 혹은 타팀으로의 이적이 예상되고 있어 더욱 뜨거운 관심을 모았다.

맨체스터 시티의 FFP 규정 위반으로 인해 징계가 확실시 되면 맨체스터 시티의 선수들을 지키기 힘들어 질 것으로 예상된다.


정리

맨체스터 시티(맨시티) 측에서 FFP(Financial Fair Play, 재정적 페어 플레이) 규정을 어겼다는 것이 슈피겔 측의 보도에서 확인 된 만큼, 징계를 피해가기는 어려울 듯 하다. 그러나, 맨체스터 시티(맨시티) 측에서는 UEFA 징계의 수위를 낮추고, 징계 효력이 발생하는 시점을 최대한으로 늦춰 이 사태에 대비할 시간을 버는데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맨체스터 시티(맨시티)FFP(Financial Fair Play, 재정적 페어 플레이) 규정을 위반한 것은 명백한 불법이고, 부당한 이익을 챙겼음으로 징계가 내려지는 것이 맞다고 본다. 또한, 이번 사태는 UEFA에서 FFP(Financial Fair Play, 재정적 페어 플레이) 규정을 제정하고 있어지는 위반 사례의 본보기와 같은 입장이기 때문에 강경한 조치가 내려졌으면 하는 바램이다.(개인적인 견해입니다.)

'♠ 3체블의 풋볼 노트 > 축구 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발롱도르 시상식이란?  (0) 2019.12.04

+ Recent posts